뿌리깊은 나무 (2011년 드라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뿌리깊은 나무》는 2011년 방영된 SBS 드라마이다. 이정명의 동명 소설을 원작으로 하며, 훈민정음 창제를 둘러싼 미스터리 팩션 사극이다. 세종 이도, 노비 출신 강채윤, 궁녀 소이 등을 중심으로, 훈민정음 창제 과정과 밀본과의 대립, 그리고 한글의 가치를 다룬다. 한석규, 장혁, 신세경 등이 출연했으며, 2011년 SBS 연기대상에서 대상을 포함하여 다수의 상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박상연 시나리오 작품 - 공동경비구역 JSA
공동경비구역 JSA는 비무장 지대 내 북한군 사망 사건을 다룬 영화로, 남북 간의 긴장 속에서 벌어진 비극적인 사건과 네 병사의 우정을 그리며 흥행과 비평에서 성공을 거두었다. - 박상연 시나리오 작품 - 아라문의 검
아라문의 검은 아스에서 타곤, 태알하, 은섬, 탄야의 운명적인 이야기를 그린 드라마로, 스튜디오드래곤과 KPJ가 제작하고 김영현, 박상연 작가, 김광식 연출, 장동건, 이준기, 신세경, 김옥빈 등이 출연하여 아스달 세력과 아고 연합, 뇌안탈 간의 갈등과 서사를 다룬다. - 김영현 시나리오 작품 - 아라문의 검
아라문의 검은 아스에서 타곤, 태알하, 은섬, 탄야의 운명적인 이야기를 그린 드라마로, 스튜디오드래곤과 KPJ가 제작하고 김영현, 박상연 작가, 김광식 연출, 장동건, 이준기, 신세경, 김옥빈 등이 출연하여 아스달 세력과 아고 연합, 뇌안탈 간의 갈등과 서사를 다룬다. - 김영현 시나리오 작품 - 신화 (2001년 드라마)
《신화》는 2001년 방영된 대한민국의 드라마로, 이레 전자 산업 대표 정문식의 성공 신화를 모티브로 김지수, 김태우, 박정철 등이 출연했다. - 조선 세종을 소재로 한 작품 - 나는 왕이로소이다
나는 왕이로소이다는 2012년 개봉한 한국 영화로, 세종대왕 즉위 전 3개월을 배경으로 왕이 되기를 거부한 충녕대군이 노비와 옷을 바꿔 입으면서 벌어지는 이야기를 다루며, 주지훈이 1인 2역을 맡아 연기했다. - 조선 세종을 소재로 한 작품 - 신기전 (영화)
2008년 김유진 감독의 영화 《신기전》은 세종 시대, 명나라의 압박에 맞서 신기전을 개발하고 지키려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그린 작품으로, 역사 왜곡 논란에도 불구하고 370만 관객을 동원하며 흥행에 성공하고 대종상 최우수 작품상 등을 수상했다.
뿌리깊은 나무 (2011년 드라마) | |
---|---|
기본 정보 | |
![]() | |
장르 | 사극 미스터리 로맨스 |
극본 | 김영현 박상연 |
연출 | 장태유 |
출연 | 한석규 장혁 신세경 |
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방송 횟수 | 24 |
제작사 | iHQ |
방송 채널 | SBS |
방송 기간 | 2011년 10월 5일 ~ 2011년 12월 22일 |
관련 작품 | 육룡이 나르샤 |
기획 | 구본근 (SBS 드라마 본부) |
음악 | 전창엽 |
책임 프로듀서 | 최문석 (SBS 드라마 운영팀) |
프로듀서 | 경민석 이영준 정훈탁 장진욱 |
한국어 제목 | |
한글 | 뿌리 깊은 나무 |
로마자 표기 | Ppuri Gipeun Namu |
일본어 제목 | |
일본어 | 根の深い木 |
로마자 표기 | Neno Hukai Ki |
2. 역사적 배경
2. 1. 조선 초기 정치 상황
2. 2. 훈민정음 창제 배경
3. 주요 등장인물
: 훈민정음을 창제한다. 어린 시절 이도는 아버지와의 불편한 관계를 겪었고, 아버지의 폭정에 의해 백성들이 겪는 고통과 죽음(심온을 포함한 부인의 가족들)을 보면서 죄책감을 느꼈다. 아버지와 부인 소헌왕후의 죽음 이후, 이도(세종)는 강채윤(똘복)을 수사관으로 고용하고(그가 수년 전 자신을 살려준 소년이라는 것을 알지 못한다) 소이의 도움을 받아 훈민정음을 창제한다. 그는 나중에 채윤이 자신을 죽이려 했던 소년이라는 것을 알게 된다.
: 전직 노비 출신으로, 세종의 호위 무사이자 수사관이 된다. 똘복은 어린 시절 지적 장애가 있는 아버지를 왕비 가문의 다른 하인들의 조롱으로부터 보호했다. 이후 똘복의 아버지는 체포되어 매를 맞았고, 결국 어린 시절 친구 소이 앞에서 죽음을 맞이한다. 사실 세종이 그를 구했지만, 그는 그것을 알지 못하며, 아버지의 죽음에 대한 책임을 세종에게 돌리며 그를 죽여 복수할 것을 맹세한다. 그는 이름을 바꾸고 군인이 되었으며, 무술의 달인 이방지 밑에서 훈련을 받았다. 채윤은 나중에 친구들과 함께 하급 경호원이 되는데, 이는 왕에게서 눈에 띄지 않기 위함이다. 그는 소이가 담이라는 것을 모르고, 그녀가 죽었다고 믿고 있다.
- '''신세경''' - 소이/담 역
- *김현수 - 아역 담 역
: 채윤의 친구로 세종의 부인에 의해 어린 시절 구출되어 궁녀가 되었다. 궁녀가 된 후, 이도는 그녀의 가족의 죽음에 대한 자신의 역할에 대해 그녀에게 사과했다. 그녀는 동료 노예들의 죽음에 대한 자신의 역할에 대해 죄책감을 느껴 말을 할 수 없지만, 뛰어난 기억력 때문에 훈민정음 창제에 기여한다.
- 전노민 : 정 도광 역
: 삼봉 정도전의 형.
: 비밀 결사 밀본의 제3대 본원(수장). 밀본의 창시자 정도전의 동생인 제2대 본원(수장) 정도광의 아들.
- 안석환 : 이신적 역
- 전승환 : 황희 역
- 조진웅 : 무휼 역
: 세종의 호위무사이자 벗으로, 친구를 위해 기꺼이 희생한다.
- 장지은 : 소헌왕후 역
- 김기방 : 조택 역
- 신승환 : 박포 역
- 송옥숙 : 도담댁 역
- 한상진 : 심종수 역
- 이수혁 : 윤평 역
- * 백수호 : 어린 윤평 역
: 소이를 인질로 잡았다가 그녀에게 반한 자객.
- 김기범 : 박팽년 역
- 현우 : 성삼문 역
- 정다빈 : 연두 역
- 전영빈 : 막수 역
- 우현 : 이방지 역
- 유현수 : 이순지 역
- 신소율 : 목야 역
- 심소헌 : 덕금 역
- 최일화 : 김종서 역
- 허준석 : 끝수 역
- 류승수 : 장성수 역
- 백서빈 : 장은성 역
- 민지영 : 연두의 어머니 역
- 이세나 : 근지 역
- 최정우 : 박은 역
- 정유찬 : 허담 역
- 정준원 : 골수암에 걸린 아이 역
- 김성현 : 카르페이 테문칸 (가명: 개파이) 역
: 그의 출신은 불분명하지만, 드라마에서는 그를 원나라(현 중국, 러시아, 몽골) 출신으로 묘사한다. 그는 돌궐이라는 용병단에 속한 뛰어난 암살자이다. 그를 이길 자는 아무도 없다고 하여 불패의 사나이라고도 불린다. 그의 실력은 강채윤, 무휼, 윤평을 능가한다. 그와 대등한 실력을 가진 유일한 인물은 그에게 죽임을 당하는 이방지이다.
3. 1. 세종 (이도)
조선의 제4대 왕으로, 훈민정음 창제의 주역이다. 백성을 위한 애민 정신과 뛰어난 지혜를 지녔지만, 아버지 태종과의 갈등과 신하들의 반대에 부딪히며 고뇌한다. 배우는 한석규이며, 아역은 강산, 청소년기는 송중기가 연기했다.어린 시절 이도는 아버지 태종 이방원이 저지른 학살로 인해 심한 콤플렉스를 앓았고, 아버지의 폭정에 의해 백성들이 겪는 고통과 죽음(심온을 포함한 부인의 가족들)을 보면서 죄책감을 느꼈다. 아버지와 부인 소헌왕후의 죽음 이후, 이도(세종)는 강채윤(똘복)을 수사관으로 고용하고(그가 수년 전 자신을 살려준 소년이라는 것을 알지 못한다) 광평대군의 나인인 소이의 도움을 받아 훈민정음을 창제한다. 그는 나중에 채윤이 자신을 죽이려 했던 소년이라는 것을 알게 된다. 자신의 비밀조직 인물들과 함께 훈민정음 연구를 한다.
3. 2. 강채윤 (똘복)
강채윤은 노비 출신의 겸사복 관원으로, 아버지의 죽음에 대한 복수를 위해 궁에 들어왔다. 아버지 석삼의 죽음이 이도 때문이라고 생각한 그는 오랫동안 김종서 휘하에서 일하다 겸사복으로 천거되었다. 그는 강채윤(어린 시절 똘복)으로 불렸으며, 출상술 등 무술의 대가였다.똘복은 어린 시절 지적 장애가 있는 아버지를 보호했고, 아버지가 체포되어 매를 맞고 죽는 것을 보았다. 이도가 그를 구하려 했으나, 똘복은 이를 모르고 세종에게 복수를 맹세했다. 이름을 바꾸고 군인이 된 그는 무술의 달인 이방지 밑에서 훈련을 받았다.
이후 강채윤은 왕에게서 눈에 띄지 않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하급 경호원이 되었다. 그는 밀본에 관한 수사를 맡게 되고, 점차 세종의 진심을 알게 되면서 그를 돕는다.
배우는 장혁이 연기했으며, 아역은 채상우와 여진구가 맡았다.
3. 3. 소이 (담이)
소이(어린 시절 이름 담)는 궁녀로, 어렸을 때 받은 충격으로 실어증에 걸려 말을 하지 못한다. 하지만 한 번 본 것은 무엇이든 기억하는 뛰어난 재능을 가지고 있어 훈민정음 창제에 기여한다. 어린 시절에는 똘복(채윤)과 함께 심온의 노비였다. 궁녀가 된 후, 이도는 그녀의 가족의 죽음에 대한 자신의 역할에 대해 그녀에게 사과했다. 소이는 동료 노예들의 죽음에 대한 죄책감으로 말을 할 수 없게 되었다.배우 신세경이 소이 역을 맡았고, 아역은 김현수가 연기했다.
3. 4. 정기준 (가리온)
정기준은 비밀결사 '밀본'의 제3대 본원으로, 훈민정음 창제를 막으려는 인물이다. 정도전의 조카로, 아버지가 죽자 반촌에 숨어들어 백정 가리온으로 행세하고 있다. 과거 시험 때 쓴 글로 이방원을 노하게 한 적이 있으며, 이도에게 평생 잊지 못할 충격을 준 장본인이기도 하다. 배우 윤제문이 정기준과 가리온 역을 맡았으며, 아역은 신동기와 최우식이 연기했다.3. 5. 밀본
밀본은 정도전의 추종자들이 만든 비밀 결사이다. 정도전의 동생이자 정기준의 아버지인 정도광은 밀본 2대 본원이었다.3. 6. 집현전 학사
세종의 훈민정음 창제를 돕는 조력자들이다. 정인지, 성삼문, 박팽년, 이순지 등이 이에 해당한다.4. 훈민정음 창제 과정
4. 1. 비밀 연구
4. 2. 창제 원리
4. 3. 반포와 갈등
5. 밀본과의 대립
1418년, 양위로 인해 조선(조선)의 4대 왕으로 세종 이도가 즉위했지만, 군권을 중심으로 실권은 상왕인 태종 이방원이 쥐고 있었다. 왕권 강화를 위해 유력한 신하들을 숙청해 온 이방원은 이도의 장인인 심온과 그 일가를 반역죄로 처형한다.
심씨 집안의 종의 아들인 '돌복'은 소꿉친구인 '담'과 도망치지만, 도중에 헤어지게 된다. 세월이 흘러 1446년, 이도가 아버지를 죽인 장본인이라고 굳게 믿고 있는 돌복은 '강채윤'으로 이름을 바꾸고, 이도에게 복수할 것을 가슴에 품고 무관으로서 궁중에 근무한다.
그 무렵, 궁중에서는 이도의 문자 창제 사업에 관련된 인물들이 잇따라 살해되는 사건이 벌어진다. 이도에게 직접 사건 수사를 명령받은 강채윤은 그 과정에서 왕권을 견제하는 비밀 조직 '밀본'과의 투쟁에 휘말리게 된다.
5. 1. 밀본의 정체
5. 2. 갈등의 심화
1418년, 양위로 인해 조선(조선) 4대 왕으로 세종 이도가 즉위했지만, 군권을 중심으로 실권은 상왕인 태종 이방원이 쥐고 있었다. 왕권 강화를 위해 유력한 신하들을 숙청해 온 이방원은 이도의 장인인 심온과 그 일가를 반역죄로 처형한다.심씨 집안의 종의 아들인 '돌복'은 소꿉친구인 '담'과 도망치지만, 도중에 헤어지게 된다.
세월이 흘러 1446년, 이도가 아버지를 죽인 장본인이라고 굳게 믿고 있는 돌복은 '강채윤'으로 이름을 바꾸고, 이도에게 복수할 것을 가슴에 품고 무관으로서 궁중에 근무한다.
그 무렵, 궁중에서는 이도의 문자 창제 사업에 관련된 인물들이 잇따라 살해되는 사건이 벌어진다. 이도에게 직접 사건 수사를 명령받은 강채윤은 그 과정에서 왕권을 견제하는 비밀 조직 '밀본'과의 투쟁에 휘말리게 된다.
6. 드라마의 주제와 의의
6. 1. 애민 정신
6. 2. 한글의 가치
6. 3. 역사적 교훈
7. 평가 및 반응
2011년 | |||||
---|---|---|---|---|---|
회차 | 방송일 | TNmS 시청률[12] | AGB 시청률[13] | ||
대한민국(전국) | 서울(수도권) | 대한민국(전국) | 서울(수도권) | ||
제1회 | 10월 5일 | 9.2% | 11.0% | 9.5% | 11.1% |
제2회 | 10월 6일 | 8.2% | 9.8% | 9.8% | 10.6% |
제3회 | 10월 12일 | 16.4% | 18.7% | 18.2% | 20.7% |
제4회 | 10월 13일 | 18.8% | 22.6% | 19.1% | 21.8% |
제5회 | 10월 19일 | 17.7% | 20.6% | 18.3% | 20.5% |
제6회 | 10월 20일 | 18.3% | 20.8% | 18.6% | 19.1% |
제7회 | 10월 26일 | 17.9% | 21.0% | 18.9% | 20.1% |
제8회 | 10월 27일 | 18.3% | 20.5% | 19.2% | 20.5% |
제9회 | 11월 2일 | 17.3% | 19.2% | 17.4% | 18.9% |
제10회 | 11월 3일 | 18.5% | 20.7% | 20.2% | 22.1% |
제11회 | 11월 9일 | 17.9% | 20.3% | 19.1% | 20.4% |
제12회 | 11월 10일 | 18.9% | 20.9% | 19.9% | 21.3% |
제13회 | 11월 16일 | 18.7% | 21.4% | 19.4% | 20.9% |
제14회 | 11월 17일 | 19.0% | 21.6% | 20.5% | 22.0% |
제15회 | 11월 23일 | 17.8% | 20.6% | 20.1% | 21.1% |
제16회 | 11월 24일 | 19.9% | 21.9% | 21.1% | 22.3% |
제17회 | 11월 30일 | 18.8% | 20.7% | 21.0% | 22.0% |
제18회 | 12월 1일 | 18.6% | 21.4% | 20.8% | 22.2% |
제19회 | 12월 7일 | 20.1% | 23.1% | 21.6% | 23.0% |
제20회 | 12월 8일 | 20.2% | 23.5% | 21.7% | 23.0% |
제21회 | 12월 14일 | 19.7% | 22.3% | 21.9% | 23.3% |
제22회 | 12월 15일 | 19.3% | 22.1% | 22.7% | 24.7% |
제23회 | 12월 21일 | 19.7% | 22.5% | 21.4% | 23.2% |
제24회 | 12월 22일 | 23.6% | 27.5% | 25.4% | 27.3% |
평균 시청률 | 18.03% | 20.6% | 19.4% | 20.9% | |
colspan="6" | | |||||
스페셜 | |||||
해례본 1부 | 12월 26일 | 6.9% | 7.8% | 8.2% | 9.1% |
해례본 2부 | 12월 27일 | 6.8% | 7.1% | 6.7% | 7.8% |
제자해 | 12월 28일 | 8.5% | 10.0% | 9.0% | 10.7% |
회차 | 방송 날짜 | 시청률 | |||
---|---|---|---|---|---|
TNmS 시청률[3] | AGB 닐슨[4] | ||||
전국 | 수도권 | 전국 | 수도권 | ||
1 | 2011년 10월 5일 | 9.2% | 11.0% | 9.5% | 11.1% |
2 | 2011년 10월 6일 | 8.2% | 9.8% | 9.8% | 10.6% |
3 | 2011년 10월 12일 | 16.4% | 18.7% | 18.2% | 20.7% |
4 | 2011년 10월 13일 | 18.8% | 22.6% | 19.1% | 21.8% |
5 | 2011년 10월 19일 | 17.7% | 20.6% | 18.3% | 20.5% |
6 | 2011년 10월 20일 | 18.3% | 20.8% | 18.6% | 19.1% |
7 | 2011년 10월 26일 | 17.9% | 21.0% | 18.9% | 20.1% |
8 | 2011년 10월 27일 | 18.3% | 20.5% | 19.2% | 20.5% |
9 | 2011년 11월 2일 | 17.3% | 19.2% | 17.4% | 18.9% |
10 | 2011년 11월 3일 | 18.5% | 20.7% | 20.2% | 22.1% |
11 | 2011년 11월 9일 | 17.9% | 20.3% | 19.1% | 20.4% |
12 | 2011년 11월 10일 | 18.9% | 20.9% | 19.9% | 21.3% |
13 | 2011년 11월 16일 | 18.7% | 21.4% | 19.4% | 20.9% |
14 | 2011년 11월 17일 | 19.0% | 21.6% | 20.5% | 22.0% |
15 | 2011년 11월 23일 | 17.8% | 20.6% | 20.1% | 21.1% |
16 | 2011년 11월 24일 | 19.9% | 21.9% | 21.1% | 22.3% |
17 | 2011년 11월 30일 | 18.8% | 20.7% | 21.0% | 22.0% |
18 | 2011년 12월 1일 | 18.6% | 21.4% | 20.8% | 22.2% |
19 | 2011년 12월 7일 | 20.1% | 23.1% | 21.6% | 23.0% |
20 | 2011년 12월 8일 | 20.2% | 23.5% | 21.7% | 23.0% |
21 | 2011년 12월 14일 | 19.7% | 22.3% | 21.9% | 23.3% |
22 | 2011년 12월 15일 | 19.3% | 22.1% | 22.7% | 24.7% |
23 | 2011년 12월 21일 | 19.7% | 22.5% | 21.4% | 23.2% |
24 | 2011년 12월 22일 | 23.6% | 27.5% | 25.4% | 27.3% |
평균 | 18.0% | 20.6% | 19.4% | 20.9% |
분교 대학 문학부 교수인 야마시타 히데아이는 출연 배우 중 특히 세종의 호위 무사 무휼을 연기한 조진웅을 높이 평가했다.[10][11]
7. 1. 긍정적 평가
분교 대학 문학부 교수인 야마시타 히데아이는 출연 배우 중 특히 세종의 호위 무사 무휼을 연기한 조진웅을 높이 평가했다.[10][11]7. 2. 비판적 평가
분교 대학 문학부 교수인 야마시타 히데아이는 출연 배우 중 특히 세종의 호위 무사 무휼을 연기한 조진웅을 높이 평가했다.[10][11]7. 3. 수상 내역
2011년 SBS 연기대상에서 대상(한석규), 10대 스타상(한석규, 장혁), 특별기획부문 남자 최우수연기상(장혁), 특별기획부문 여자 우수 연기상(신세경), 특별연기상(송옥숙, 윤제문), 프로듀서상(송중기), 최우수 작품상을 수상했다. 2012년에는 제48회 백상예술대상 TV부문 대상 및 극본상(김영현, 박상연), 제7회 서울드라마어워즈 대상, 제5회 코리아드라마페스티벌 연출상(장태유), 제39회 한국방송대상 중단편드라마부문 작품상을 수상했다.연도 | 시상식 | 부문 | 수상자 | 결과 |
---|---|---|---|---|
2011 | SBS 연기대상 | 대상 | 한석규 | 수상 |
최우수 드라마 | 뿌리깊은 나무 | 수상 | ||
드라마스페셜 부문 남자 최우수 연기상 | 한석규 | 후보 | ||
드라마스페셜 부문 여자 우수 연기상 | 신세경 | 수상 | ||
드라마스페셜 부문 남자 특별연기상 | 조진웅 | 후보 | ||
드라마스페셜 부문 여자 특별연기상 | 송옥숙 | 수상 | ||
프로듀서상 | 송중기 | 수상 | ||
10대 스타상 | 한석규 | 수상 | ||
장혁 | 수상 | |||
2012 | 제6회 Mnet 20's Choice Awards | 20's 남자 드라마 스타 | 송중기 | 후보 |
20's 여자 드라마 스타 | 신세경 | 후보 | ||
제7회 서울 드라마 어워즈 | 대상 | 뿌리깊은 나무 | 수상 | |
작가상 | 김영현, 박상연 | 후보 | ||
우수 한국 드라마 | 뿌리깊은 나무 | 후보 | ||
우수 한국 여자 연기자 | 신세경 | 후보 | ||
제48회 백상예술대상 | TV 부문 대상 | 뿌리깊은 나무 | 수상 | |
TV 부문 드라마 작품상 | 뿌리깊은 나무 | 후보 | ||
TV 부문 남자 최우수 연기상 | 한석규 | 후보 | ||
TV 부문 연출상 | 장태유 | 후보 | ||
TV 부문 극본상 | 김영현, 박상연 | 수상 | ||
제5회 코리아 드라마 어워즈 | 대상 | 한석규 | 후보 | |
연출상 | 장태유 | 수상 | ||
남자 우수 연기상 | 윤제문 | 후보 | ||
제1회 K-드라마 스타 어워즈 | 남자 최우수 연기상 | 한석규 | 후보 | |
8. 미디어 믹스
8. 1. 원작 소설
이정명 작가의 동명 소설 《뿌리깊은 나무》를 원작으로 한다. 김영현, 박상연 작가가 선덕여왕에 이어 공동 집필했다.KBS 드라마운영팀의 곽기원 팀장은 인터뷰에서 "SBS가 야심차게 기획한 수목드라마 '뿌리깊은 나무'는, 한글을 창제한 세종의 이야기를 극화한 미스터리 팩션 사극물이기 때문에, 조선 세종 시대를 배경으로, 훈민정음 반포 전 7일간 경복궁에서 벌어지는 집현전 학사 연쇄살인 사건을 모티브로 하여, 역사적 사료에 기록되지 않은 한글 창제의 과정과 세종의 고뇌, 백성의 관점에서 본 한글의 의미, 한글 창제를 막으려 했던 사대부와 한글 창제의 중심에 서게 된 궁녀의 사랑이야기 등 독창적인 세계관을 구축하여, 역사 속 우리시대의 자화상을 반추해보기 위해, 모든 계층이 누구나 지켜볼 수 있는 사극물로 방향을 잡았다"라고 밝혔다.
본 드라마는 역사적 사실을 기반으로 하는 사극물의 특성상, 민감한 역사 왜곡 방지 차원에서 미스터리물 특유의 독창적인 세계관을 구축하여, 드라마 속 등장 인물들의 심리적 묘사를 허구적으로 창작하였다.
8. 2. 뮤지컬
9. 기타
9. 1. 세트장
9. 2. 촬영 비화
참조
[1]
뉴스
Jang Hyuk said did not want to take role in ''Tree'' at first
http://www.asiae.co.[...]
10Asia
2011-09-29
[2]
뉴스
Actor Jang Hyuk's Soundtrack Picks
http://www.asiae.co.[...]
10Asia
2011-12-02
[3]
웹사이트
TNMS Daily Ratings: this links to current day-select the date from drop down menu
https://web.archive.[...]
2011-10-05
[4]
웹사이트
AGB Daily Ratings: this links to current day-select the date from drop down menu
https://web.archive.[...]
2011-10-05
[5]
웹사이트
韓流No.1 チャンネル-KNTV
http://www.kntv.co.j[...]
2014-11-07
[6]
웹사이트
根の深い木
http://www.tv-tokyo.[...]
2014-11-07
[7]
웹사이트
ภ.เกาหลีชุด "จอมกษัตริย์ตำนานอักษร" (DEEP ROOTED TREE)
http://drama.ch7.com[...]
2016-01-12
[8]
웹사이트
根の深い木 -世宗大王の誓い- (2011)
https://www.allcinem[...]
allcinema
2017-09-11
[9]
웹사이트
Tree with Deep Roots
https://www.imdb.com[...]
IMDb
2017-09-11
[10]
웹사이트
<女たちの韓流・55>「根の深い木」~ハングル創製の秘話~
https://wan.or.jp/ar[...]
Women's Action Network (WAN)
2017-09-11
[11]
웹사이트
山下 英愛
http://gakujyo.bunky[...]
文教大学
2017-09-11
[12]
웹사이트
TNmS 멀티미디어 홈페이지
http://home.tnms.tv/[...]
[13]
웹인용
AGB닐슨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
http://www.agbnielse[...]
2011-09-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